로고

[본지 지면 제518호] 기자파일 이 만 재 취재본부장

구멍뚫린 산불 시스템

이만재취재본부장장 | 기사입력 2025/04/15 [16:00]

[본지 지면 제518호] 기자파일 이 만 재 취재본부장

구멍뚫린 산불 시스템

이만재취재본부장장 | 입력 : 2025/04/15 [16:00]

 

본문이미지

 

역대최악의 산불로 인명피해까지 더해져 삶이 송두리채 없어진 생각조차 하기실은 이번산불이 실화로 밖여지고있다.

 이번산불로 인명피해가 많은것은 60대이상의 노인층이 많았다. 태풍급속도의 풍속으로 도깨비불로 표현한 불꽃이 민가로 번지면서 미쳐피하지 못하거나 대피도중에 숨진 것으로 파악 되었다.

 급격히 빠른속도로 번진산불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은 여러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똑같은 재난문자가 남발되거나 대피 방법과 장소를 알수가 없어서 더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혼란을 빚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후변화로 산불확산이 더욱 많아지고 있는데 미래에 환경에 대한 사전 교육과 대피훈련 등 미비한 점이 이번 산불 피해에서 증명해주고 있다.

 산불도 기상청처럼 극한호우사항 등 호우현안 안전조치 사항을 담은 즉각 재난문자를 체계적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산불확산 속도가 워낙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대피문자가 원할하게 수신이 환경이 원활하지 못하였고 공무원이나 진화대원들이 도착하기전 이미 산불이 지나가는 속도였다.

 대피 체계도 초고속 산불에 맞은 대피체계로 전환이 필요한것으로 지적되었다. 이번산불 발생지역이 주민대부분 노연층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발생해 문자에 익숙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해야하고 새로운 맞춤형 대피지침이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들이 나오고있다.

 이제 남은건 빠른피해 복구와 재건이다. 단순이 잔애을 치우고 풍경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재난 피해자들의 일상을 찾아주어야하고 정부의 신속한 지원이 이루워져야 한다.

 그나마 잃어버린 삶을 지탱해 주어야 하는데는 재난무개를 피해자에게 떠넘기는 대책이 아니라 하루빨리 일상을 찾을수 있는 지원책을 여·야·정부가 총출동되어야 한다는것이다. 공식적인 피해액수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정부는 복구비만 3∼4조원으로 책정하고있다. 정부는 4000억이상의 재정을 산불지역 농업인 지원 방안부터 내놨지만 시설복구와 긴급생활 안전자금 등에 사용하겼다는 것이다.

 농가피해율이 50%를 넘는 지역이많아 긴급생계비등 으로인한 피해지원 비용으로서는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정부는 10조원의 추가경정예산을 국회에서 간급편성하여 산불로인한 피해로 삶의 터전과 경제활동 수단을 모두잃은 이제민의 일상을 빠르게 되찾을 지원이 하루빨리 의루워 져야한다.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광고
광고
주간베스트 TOP10
오 피 니 언 많이 본 기사